본문 바로가기

Frontend

(3)
[javascript] 프로토타입이 대체 뭔데 Javascript는 흔히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prototype-based language)라 불린다. 그래서 프로토타입을 이해하면 Javascript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던데...JS는 다중 패러다임 언어 프로토타입은 객체 지향과 관련이 크기 때문에 JS가 다중 패러다임 언어라 객체 지향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넘겨 짚고 가자!그렇다면 객체 지향이 뭐야?객체를 여러 개 만들어서 프로그램을 더 쉽게 짜는 것을 지향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이다.예를 들어, 코드로 차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다고 했을 때 왼쪽처럼 차와 관련 있는 속성이나 기능을 순서대로 만들 수도 있지만, 오른쪽처럼 하나의 덩어리(객체)로 묶을 수도 있다. 객체로 묶으면 코드를 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Class객체 지향..
[javascript] Export default? 📖 Export and Import javascript에서는 모듈을 만들어서 내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다. 내보낼 때는 export 키워드를 사용하고, 가져올 때는 import 키워드를 사용한다. export는 2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export하고 싶은 개체의 이름을 모두 나열하는 방식(named export)이고, 두 번째는 default 키워드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1. named export 예시 const apple = "사과"; function banana() { console.log("바나나!!"); } export { apple, banana }; import { apple, banana } from "./module"; console.log(apple); banana(..
[Javascript] JS 기초 문법 정리 💡 정리하게 된 계기 이번에 노마드코더에서 react 스터디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javascript를 복습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노마드코더의 '바닐라 JS로 크롭 앱 만들기' 강좌를 다시 들으면서 Javascript의 기초 문법을 대략적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강좌에서 배운 내용 이외에 추가하고 싶은 내용은 다른 블로그를 참고했다. 📖 정말 간략한 기초 문법 정리 변수 변수는 크게 const, let 2가지 키워드를 이용해 선언할 수 있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에 값을 한 번 할당한 뒤, 다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상수를 정의한다. let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에 한 번 값을 할당한 이후에도 나중에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왠만하면 const 키워드를 기본으로 사용하기! let a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