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어 자바스크립트] 1장. 데이터 타입 🎯 1장의 목표 - 자바스크립트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 이해하기 🖊️ 내용 정리 데이터 타입 javascript에는 6개의 기본형 데이터와 1개의 참조형 데이터가 있다. 변수를 선언 및 할당: 메모리 영역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하기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변수라고 하며, 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붙이는 이름(식별자)을 변수명이라고 한다. 변수를 선언할 경우 변수명과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모리 짧게 이해하기 메모리의 한 조각을 비트라고 하며, 비트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메모리 한 칸은 1byte(8bit)며, 바이트 또한 바이트가 가진 8비트 중 첫 번째 비트의 식별자(메모리 주소값)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1) 기본형 변수의 선언 컴퓨터는 메모리에서 비어있는 공간을 확보.. [javascript] Export default? 📖 Export and Import javascript에서는 모듈을 만들어서 내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다. 내보낼 때는 export 키워드를 사용하고, 가져올 때는 import 키워드를 사용한다. export는 2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export하고 싶은 개체의 이름을 모두 나열하는 방식(named export)이고, 두 번째는 default 키워드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1. named export 예시 const apple = "사과"; function banana() { console.log("바나나!!"); } export { apple, banana }; import { apple, banana } from "./module"; console.log(apple); banana(.. [Javascript] JS 기초 문법 정리 💡 정리하게 된 계기 이번에 노마드코더에서 react 스터디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javascript를 복습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노마드코더의 '바닐라 JS로 크롭 앱 만들기' 강좌를 다시 들으면서 Javascript의 기초 문법을 대략적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강좌에서 배운 내용 이외에 추가하고 싶은 내용은 다른 블로그를 참고했다. 📖 정말 간략한 기초 문법 정리 변수 변수는 크게 const, let 2가지 키워드를 이용해 선언할 수 있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에 값을 한 번 할당한 뒤, 다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상수를 정의한다. let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에 한 번 값을 할당한 이후에도 나중에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왠만하면 const 키워드를 기본으로 사용하기! let a =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