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차
🏷️ 범위: Chapter 0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 Chapter 03 명령어
🖊️ 내용 요약
Ch 0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컴퓨터 구조를 왜 알아야 할까?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면 복잡한 문제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으며, 성능, 용량, 비용까지 고려한 개발을 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서비스의 경우 이 세 가지 요소를 잘 선택하기 위해 단순히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컴퓨터 구조를 잘 알아야 한다.
컴퓨터 구조 개요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려면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와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을 알면 된다.컴퓨터가 0과 1로 표현된 정보만 이해하며, 데이터와 명령어가 있다.
- 데이터: 숫자, 문자, 이미지 등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적인 정보
- 명령어: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주기억장치(=메모리, Main Memory), 보조기억장치(Secondary Storage), 입출력장치(Input/Output)가 있다.
- CPU: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고 해석한 뒤 실행한다. CPU는 ALU(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와 임시로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레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 메모리: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값은 주소를 이용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 보조기억장치: 크기가 크고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을 잃지 않는 메모리를 보조하는 장치다.
- 입출력장치: 마이크, 키보드, 모니터, 스피커 등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다.
네 가지 핵심 부품은 여러 컴퓨터 부품을 부착할 수 있는 메인 보드에 연결된다. 메인 보드에 연결된 부품은 버스라는 메인 보드 내부 통로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다. 버스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버스는 시스템 버스라고 한다. 시스템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로 구성된다.
네 가지 핵심 부품이 메인 보드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책을 참고해 간략하게 그림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h 02. 데이터
(추후 작성)
Ch 03. 명령어
(추후 작성)
🤔 읽은 소감 & 떠오르는 생각
전공생임에도 불구하고 학교 다니면서 컴퓨터 구조의 중요성을 잘 몰라서 수업을 듣지 않았다. 당시에는 컴퓨터 구조를 몰라도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강했다. 하지만 이제는 컴퓨터 구조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체감하고 있다. 학교 다닐 때는 무작정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에 집중하여 서비스 개발에만 신경 썼는데, 이제는 서비스의 성능, 용량, 비용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온 것이 아닐까? 컴퓨터 구조를 알면 문제 해결력이 상승한다는 말에도 크게 공감하며, 이번 스터디를 통해 컴퓨터 구조를 잘 이해했으면 좋겠다.
📖 숙제
기본 숙제: p. 51의 확인 문제 3번, p. 65의 확인 문제 3번 풀고 인증하기
p.51 3번: 메모리
p.65 3번: (미완)
추가 숙제: p. 100의 스택과 큐의 개념을 정리하기
(미완)